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신청 꿀팁 공개

by 육6아빠 2025. 5. 8.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제도의 신청 자격, 금액, 참여대학까지 총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신청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2025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2025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은 정부가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 몰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한 한국형 스타이펜드 제도입니다.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대학원 지원 시스템을 참고해 도입되었으며, 학위 과정 동안 최소한의 생활비를 정부가 직접 보장합니다.

1. 제도 개요: 한국형 스타이펜드란?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은 석사·박사 과정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9년간(2025~2033년) 추진되며, 연간 약 5만 명 이상에게 지급됩니다.

  • 도입 목적: 청년 연구자의 이탈 방지 및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예산 규모: 2025년 기준 약 600억 원

2. 신청 대상 및 조건

2025년 기준, 아래 29개 참여 대학의 전일제 이공계 석사·박사 과정생이 신청 대상입니다. 특히 연구과제 참여 여부와 무관하게 지원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연번 대학명 연번 대학명 연번 대학명
1 가천대학교 11 대구가톨릭대학교 21 연세대학교
2 가톨릭대학교 12 덕성여자대학교 22 이화여자대학교
3 강원대학교 13 부산대학교 23 인하대학교
4 건국대학교 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4 전남대학교
5 경상국립대학교 15 서울대학교 25 제주대학교
6 고려대학교 16 서울시립대학교 26 충남대학교
7 광운대학교 17 성균관대학교 27 충북대학교
8 국립공주대학교 18 성신여자대학교 28 포항공과대학교
9 국립강원대학교 19 세종대학교 29 한양대학교
10 국립한밭대학교 20 순천향대학교    

위 대학에 소속된 이공계 대학원생이라면 반드시 산학협력단 공지를 확인하세요.
(학교명을 클릭 시, 산학협력단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지원 금액 및 방식

생활장려금은 아래 기준으로 지급되며, 연구실에서 R&D 인건비를 받는 경우 부족한 금액만큼 차액을 지원받게 됩니다.

과정 지원 금액 비고
석사 월 80만 원 이상 인건비 중복 가능
박사 월 110만 원 이상 과제 미참여자도 포함

지급 시기: 2025년 5월부터 순차 지급 개시

4. 신청 절차 및 일정

이 장려금은 개별 신청이 아닌, 대학이 통합 신청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각 대학 산학협력단을 통해 세부 안내가 제공되며, 학생은 해당 부서의 안내에 따라 절차를 이행해야 합니다.

  • 2~3월: 대학별 내부 신청 접수
  • 4~5월: 대학 심사 후 정부에 제출
  • 5월~: 최종 확정 및 지급 시작

5. 자주 묻는 질문(FAQ)

  • Q. 참여 대학이 아닌 곳의 학생도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2025년 기준 선정된 29개 참여 대학 소속 학생만 대상입니다.
  • Q. 연구실 인건비와 중복으로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두 금액을 합산하여 기준 금액 이상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Q. 별도 서류나 신청서가 필요한가요?
    A. 학생이 개별 신청서를 제출하는 구조가 아니라, 학교 내부에서 통합 제출합니다.
  • Q. 인건비가 기준보다 많으면 지원을 못 받나요?
    A. 맞습니다. 기준 이상을 이미 받고 있는 경우 추가 지원은 없습니다.

6. 공식 정보 확인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도 공고 및 자료
  • 한국연구재단(NRF): 신청 지침 및 운영 매뉴얼
  • IRIS(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대학 신청 및 관리 플랫폼

🔗 관련 정보는 과기정통부, NRF, IRIS 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마무리

2025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은 단순한 장학금을 넘어서, 과학기술 인재의 연구 기반을 강화하는 핵심 제도입니다.
참여 대상자라면 대학 공지를 꼼꼼히 확인하고, 지급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대비하세요!